뇌병변 장애를 진단받거나 판정을 준비 중이라면, 최신 기준과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뇌병변 장애의 새로운 분류, 진단 과정, 판정 기준, 그리고 관련 고려 사항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뇌병변 장애 분류 체계
장애 정도에 따라 다음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됩니다.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보행 또는 일상생활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사람.
-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 보행 시 절뚝거림을 보이거나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경미하게 제한된 사람.
포인트: 기존의 등급 체계보다 개인의 실제 생활 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합니다.
2. 뇌병변 장애 판정 기준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진단이 이루어지며, 이를 기준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1) 진단 시기
- 원인 질환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충분한 치료 후 장애가 고착된 경우에만 판정합니다.
2) 진단 전문의
뇌병변 장애는 다음 전문의가 진단을 수행합니다.
- 재활의학과 전문의
- 신경외과 전문의
- 신경과 전문의
3) 판정 방법
마비 정도 및 범위 평가: 신체의 마비 상태와 범위를 확인합니다.
일상생활 수행 능력 평가: 개인의 일상생활 동작 가능 여부 체크합니다.
진료 기록 활용:
- 진단서, 소견서, 진료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합니다.
- CT, MRI 검사로 뇌병변을 확인하여 신뢰도를 높입니다.
4) 고려 사항
- 장애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 개인의 환경적 요인과 생활 능력도 함께 평가합니다.
3. 변경된 MBI와 추가 판정 항목
1) 수정바델지수(MBI)의 조정
- 2011년 이후 MBI 등급 간 점수가 조정되었습니다.
- 이는 뇌병변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2) 추가 판정 항목
- 운동 기능 평가: 마비로 인한 움직임의 제한 여부.
- 정신적 상태 평가: 인지 기능과 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
4. 뇌병변 장애 지원
1) 1급 지원 내용
1급 장애인은 중증으로 분류되며,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일상 생활 보조를 위한 개인 지원, 재활 프로그램,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 직업 훈련 서비스 등이 제공됩니다. 이 외에도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 등 다양한 사회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2급 지원 내용
2급 장애인은 일상적인 활동에서 일정 수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로, 이들에게는 정기적인 재활 치료, 이동을 돕는 보조 기기 지원, 직업 훈련 프로그램 등이 지원됩니다. 필요에 따라 거주 환경의 접근성을 높이는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될 수 있습니다.
3) 3급 지원 내용
3급 장애인은 비교적 가벼운 지원이 필요한 경우로, 상담 서비스, 취업 지원, 일부 재활 프로그램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도구나 보조 장치와 관련된 지원이 제공되며, 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결론]
뇌병변 장애의 판정 기준은 더 이상 단순한 등급이 아닌, 개인의 실제 생활 능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새로운 분류와 절차는 장애인을 더 깊이 이해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뇌병변 장애를 진단받거나 준비 중이라면,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최신 기준에 따라 적절한 판정을 진행하세요.
당신과 가족의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423
7월 장애등급제 폐지, 뭐가 어떻게 바뀌나 - 에이블뉴스
오는 7월1일부터 장애등급제가 단계적으로 폐지되며, 장애인 정책 패러다임이 31년만에 바뀐다.보건복지부는 25일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를 앞두고,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지원체계 구축’을
www.ablenews.co.kr
2025.01.08 - [건강] - 뇌병변장애 증상 원인 관리, 혼자가 아니다!
뇌병변장애 증상 원인 관리, 혼자가 아니다!
혹시 갑작스러운 신체 마비나 언어 장애로 일상이 무너질까 두렵나요? 뇌병변장애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지만, 제대로 이해하고 관리하면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뇌
vuvu.xing-health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분 복용시간 복용법 부족 증상, 철분제 필수 정보 (0) | 2025.01.21 |
---|---|
밥먹고 디저트 꼭 먹는 사람? 탄수화물 중독 테스트! (0) | 2025.01.10 |
뇌병변장애 증상 원인 관리, 혼자가 아니다! (0) | 2025.01.08 |
피지낭종, 여드름과 다르다? 원인부터 관리법까지! (0) | 2025.01.07 |
독감과 코로나 차이점 증상 회복기간 (0) | 2024.12.23 |
댓글